반응형 보안14 🌐 DNS Rebinding: 도메인을 내부 네트워크 IP로 변조하여 내부 시스템 침투 🚨 📌 목차DNS Rebinding이란?공격 원리와 작동 방식주요 공격 기법보안 위협과 실제 사례방어 방법 및 대응 방안🔍 DNS Rebinding이란?DNS Rebinding(도메인 네임 시스템 리바인딩)은 공격자가 도메인의 DNS 응답을 조작하여, 피해자의 브라우저가 내부 네트워크 IP로 접속하도록 유도하는 공격 기법이다. ✅ 일반적인 DNS 요청 흐름사용자가 attacker.com에 접속DNS 서버는 attacker.com → 192.168.1.100(공격 서버)로 응답사용자의 브라우저는 공격 서버와 통신 ✅ DNS Rebinding 공격 흐름사용자가 attacker.com에 접속초기 DNS 응답: attacker.com → 123.123.123.123(공격 서버)이후 DNS 응답 변경: attac.. 2025. 2. 20. 🚨 JWT 공격(JSON Web Token Exploitation): 취약한 서명 알고리즘을 악용한 토큰 변조 🔓 📌 목차JWT(JSON Web Token)란?JWT 공격의 원리주요 JWT 공격 기법보안 위협과 실제 사례방어 방법 및 대응 방안🔍 JWT(JSON Web Token)란?JWT(JSON Web Token)는 사용자의 인증 및 권한 정보를 포함하는 보안 토큰으로,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무상태(stateless) 방식으로 인증을 유지하는 데 사용된다. ✅ JWT의 기본 구조Header.Payload.Signature 예제:eyJhbGciOiJIUzI1NiIsInR5cCI6IkpXVCJ9.eyJ1c2VyIjoiYWRtaW4iLCJyb2xlIjoiYWRtaW4ifQ.sgnPz6EXAM4Jx5E7FsHgAHeader: 서명 알고리즘 정보 포함 (HS256, RS256 등)Payload: 사용자 ID, 권한 정보 .. 2025. 2. 20. 🚨 WebSockets 공격: 인증되지 않은 연결을 악용한 보안 취약점 🔓 📌 목차WebSockets란?WebSockets 공격의 원리주요 공격 기법보안 위협과 실제 사례방어 방법 및 대응 방안🔍 WebSockets란?WebSockets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실시간 양방향 통신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이다.HTTP 요청과는 다르게 연결을 한 번 맺으면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어 채팅, 실시간 알림, 스트리밍 등에 많이 사용됨그러나, WebSockets는 기본적으로 인증 및 보안 기능이 내장되어 있지 않아잘못된 설정이 있을 경우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가 연결하여 악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취약점이 발생할 수 있음.⚙️ WebSockets 공격의 원리WebSockets는 HTTP 기반이지만, 연결이 한 번 성립되면 추가적인 인증이 필요하지 않음따라서, 클라이언트 측에서 인증.. 2025. 2. 20. 🚨 Mass Assignment 공격: 숨겨진 필드를 조작하여 관리자 권한 탈취 🔓 📌 목차Mass Assignment 공격이란?공격 원리와 작동 방식주요 공격 기법보안 위협과 실제 사례방어 방법 및 대응 방안🔍 Mass Assignment 공격이란?Mass Assignment(대량 할당) 공격은 웹 애플리케이션이 입력된 모든 필드를 자동으로 객체에 할당할 때 발생하는 취약점이다.개발자가 사용자 입력을 화이트리스트 없이 그대로 모델 객체에 바인딩하면,공격자는 의도하지 않은 필드를 조작하여 관리자 권한을 탈취하거나, 계정 정보를 변경하는 등의 공격을 수행할 수 있다.이 취약점은 주로 Ruby on Rails, Express.js, Django, Laravel 등에서 발생한다.⚙️ 공격 원리와 작동 방식Mass Assignment 취약점은 프레임워크의 자동 바인딩 기능을 악용하여 공격자.. 2025. 2. 20.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